분류 전체보기213 중국 사조사四祖寺 영윤교 석각 중국 선종 총림 그 첫 번째 도량, 옥구슬 영롱한 벽옥류 방문및 촬영은 한중불교교류 중국선종사찰순례 2014 8 28 사조사四祖寺는 사조 도신 스님의 수행처이자 제자 오백여명을 거느리고 수행한 명실상부한 최초의 총림이다. 중국 선종사에서 초조, 이조, 삼조 스님이 여러 형편상 정착하지 못한 유랑생활을 했다면 도신 스님은 사찰에 정착하여 대중을 이루고 선법을 펼쳤다. 선종 총림 그 첫 번째 도량이 사조사이며 제자가 500여명이 넘었다고 한다. 도신 스님은 쌍봉산(파액산)에서 법을 펼치시며 동산법문을 개창하였는데 동산법문은 일과 선의 구분을 두지 않고 정진하는 선농일치禪農一致의 가르침이 핵심이다. 사조사에는 영윤교靈潤橋라는 오래된 무지개형 다리가 있는데 아래로는 벽옥류라는 맑은 물이 흐른다. 이곳도 해인사 .. 2023. 2. 4. 미륵세계사, 미륵대원지 2022년 9월 현재 미륵세계사, 미륵대원지는 문화재 보수, 복원공사가 한참이라 보호각으로 덮여있어 친견할 수가 없다. 2008년 찍은 싱싱한 사진을 올린다. 미륵대원지는 창건 연대나 내력, 사원의 정확한 명칭을 알 수 없으나,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짐작된다. 석굴은 거대한 돌을 쌓은 위로 목조로 세운 자취가 있으나 지금은 남아있지 않다. 발굴 당시 ‘미륵당초’라고 새겨진 기와가 나와,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전기의 사원으로 추정된다. 전설에 의하면 신라 경순왕의 아들 마의태자가 나라가 망한 것을 슬퍼하며 금강산으로 가는 도중, 누이인 덕주공주가 월악산에 덕주사를 지어 남쪽을 바라보는 마애불을 만들자 태자는 북향의 석굴을 지어 덕주사를 바라보게 하였다고 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3. 2. 2. 안동 제비원 연미사 미륵불 안동 제비원 연미사 미륵불 - 방문일자 2019 10 19 성주지신밟기 가사에는.....우리나라의 근본이 안동 제비원에서 시작됬다고 하는데...바로 그곳, 제비원 연미사 미륵불. 여루여루 지신아 성주지신을 울려주자/ 우리조선 생겨날때 성주본이 어느메요 /경상도 안동땅 제비원이가 본일레라 제비원의 솔씨받아 용문지평을 썩 끊어가서/ 소산에 뿌려 소목이 되고 대산에 뿌려 대목이 되고 2023. 2. 2. 영남 알프스 태극종주 (2구간으로 나누어) ①영남 알프스 태극종주 2020 4 8일 ◉32 키로 - 17시간 03:00 대구 출발 04:40 석골사~억산~범봉~~운문산~아랫재~가지산~중봉~석남고개~14:30 능동산~13:10토끼봉케이블카~샘물상회~17:30 천황산~18:30재약산~죽전고개~10:00 도착 포그니펜션 ②영남 알프스 태극종주 2020 4 24일 ◉17.4 키로 - 10시간 40분 04:00 대구 출발 5:40 청수골 도착. 도시락 6:20 출발 청수골 중앙능선~ 7:50채이등~함박등~9:00영축산~9:30-11:00점심 취서산장~12:00영축산~신불재~13:00신불산~13:50간월재~14:40간월산~배내봉~17:00 배내고개 2023. 1. 30. 부산 5산종주(백금철아장을 역순으로) 4구간으로 나누어. 65km 공부 많이하고 가야하는 부산 5산종주. 도심지 산이다보니 수천갈래 길과이정표가 나온다. 매회 1회 이상 알바는 보너스. 부산 오산종주 2020 5 7 1구간 16㎞ 동백섬(최치원동상) ~ 간비오산(148m) ~ 옥녀봉(383m) ~ 중봉(403m) ~ 장산(634m5.7㎞) ~ 장산습지 ~ 산성산(368m9.3㎞15㎞) ~ 쌍다리재 영락공원 1.2㎞ 16㎞ 해운대 6시 30분 도착, 아침을 먹고 7시 출발-동백섬(최치원동상) 동백섬 최치원동상-웨스턴 조선-동백역2번출구,7번가 피자,운촌노인정 좌측계단 부산 오산종주 2020 5 12 2구간 18.8㎞ 쌍다리재 영락동산 ~ 아홉산(360m5.8㎞) ~ 함박산(458m) ~ 곰내재4㎞(점심) ~ 문래봉(507m0.8㎞)~ 당나귀봉~ 철마산(605m4.5㎞) .. 2023. 1. 30. 가팔환초 (3구간으로 나누어) 가팔환초 시작은 2020년 3월 13일 2구간인 한티재에서 갓바위를 먼저가고 두 번째로 2020년 3월 25일 1구간인 계정사에서 한티재...마지막으로 2020년 4월 1일 3구간인 갓바위, 초례봉을 올랐습니다. ① 계정사에서 한티재 구간 2020년 3월 25일 ◆ 산행코스 : 계정사~(2.5)~가산바위(1시간 40분)~(1.1)~중문 용바위~가산봉~(2.2)~치키봉~(3.2)~한티재 ◆ 산행거리 : 9km 4시간 20분 ② 가팔환초의 시작 2020년 3월 13일 대구 살면서 팔공산의 기를 제대로 받으려면 팔공산을 타야 된다는 유혹에... 먼저 한티재에서 갓바위까지. ◆ 산행코스 : 한티재 - 삼갈래봉(834m) - 파계봉(991m) - 가마바위봉(1054m) - 서봉(1150m) - 비로봉(1193m).. 2023. 1. 30. 2023 1 3 안동 문화재 탐방 2023년 1월 3일 . 안동 문화재가 경주만큼이나 많고 거리에서 쉽게 볼수있는 문화재가 많아 작심하고 찾아갔습니다. 먼저 찾아보아야할 문화재목록을 만들고 지도를 검색하여 위치를 확인했습니다. 안동에 전탑을 목표로 3기의 전탑과 임하동에 논바닥에 널려있는 석탑 4기가 목표입니다. 1.안동 임하동 석탑 4기 ①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05호 임하동 동삼층석탑 ②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0호 임하동 오층석탑 ③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06호 임하동 십이지삼층석탑 ④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6호 임하동 중앙삼층석탑 2.법흥사지 7층전탑 3.舊 안동역사 운흥동 5층전탑 4.조탑동 5층전탑 5.평화동 3층석탑 그러나 조탑동 5층전탑은 문화재 복원수리에 들어가 2026년까지 박스안에 같혀계시고 안동시내 옥동3층석탑.. 2023. 1. 4. 환성산 일출산행 2023 1 1 2023년 1월1일 여지없이 다가왔다. 도림사에서 5시 30분 출발하여 7시 40분 일출시간에 맞춰 올라간다. 환성산에서 새해에 대한 기대와 모든이들의 축복을 기원하며... 무구청정광無垢淸淨光 혜일파제암慧日破諸暗 때 묻지 않은 청정한 밝은 광명! 태양 같은 지혜로 어둠을 깬다. 2023년 모두 마음의 밝은 태양을 찾는 한해가 되길 기원합니다.. 2023. 1. 1. 덕유산 2022 12 27 폭설로 인해 덕유산이 전면 통제되었다가 부분적으로 풀렸다. 눈구경도 하고 눈 밟는 뽀드득 소리도 들을겸 덕유산으로 향합니다. 스키장에서 곤도라를 타고 설천봉으로... 山美會와 함께... 곤도라리조트 - 설천봉 - 향적봉 - 덕유평전 - 백암봉(백두대간합치길, 송계3거리) - 설천봉 곤도라리조트 ◈ 산행거리 : 왕복 5.4km 대구에서 7시 40분 출발. 곤도라 10시 탑승 가로로 보면 능선이요 세로로 보면 봉우리라. 멀고 가까움 높고 낮음에 따라 모습이 각각 이구나. 여산에 있으면서 여산의 참 모습을 알지 못함은 단지 이 몸이 산 깊숙히 있기 때문이라네 (橫看成領側成峰 遠近高低各不同 不識廬山眞面目 只緣身在此山中) 소동파 눈이온지 며칠 지나서인지 바람에 날려 눈이 보이지 않습니다. 대신 발로 무한히 눈을 .. 2022. 12. 28. 문수보살 주석처 봉화 청량산 2022 12 15 2022년 12월 15일 대구 6시30분 출발, 청량산 9시 산행시작. 올해 첫눈을 청량사에서 보다. First There Last Out 누구보다 가장먼저 산행에 나아가고 가장 나중에 하산한다. 산행코스 : 입석 - 응진전 - 김생굴 - 자소봉 - 탁필봉 -연적봉 - 자란봉 - 선학봉 -하늘다리 - 장인봉 - 분기점 - 두들마을(청량선현체험길) 가다가 turn- 청량사 - 입석 산행거리: 8.3 km 산행시간: 눈이 오고 쌓인 가운데 6시간 30분 청량산 육육봉 - 금탑봉 탁립봉 경일봉 자소봉 탁필봉 연적봉 자란봉 선학봉 장인봉 연화봉 향로봉 ...맞은편 축융봉 청량산은 통일신라 서예가 김생(金生, 711~790이후)과 최치원(857~?)의 흔적이 서려있는 산입니다. 청량산에는 김생이 머물렀다는 김생굴.. 2022. 12. 16. 경주 장항리 사지 감은사지 경주 문화탐방 전편 옥룡암 마애불상군에 이어 장항리사지와 감은사지로 이어집니다. ▶장항리사지 불국사에서 석굴암으로 가는길에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감포, 장항리사지방향이 나온다. 5분여 차를 타고 내려가다 보면 좌측 개울 건너 언덕 위에 5층석탑 2기가 보인다. 장항리 사지이다. 서편 오층석탑은 거의 원형에 가깝게 복원이 되었다 동편 오층석탑은 1,2층 기단부가 복원되지 못하고 5층석탑 탑신만이 복원되 있다. 탑뒤편에는 기단석으로 보이는 탑의 부재들이 남아있다. 이곳에 있었던 석조여래입상은 현재 국립경주박물관 정원 뜰에 세워져 있는데 많이 훼손되었지만 우아한 아름다음을 보여주고 있다. 돌중에는 경주석이 화강암에 누런 빛깔을 띠고있어 요즘도 가장 구하기 어렵고 비싸다는테...장항리사지에 석탑을 보면 경주석으로.. 2022. 12. 12. 경주 남산 옥룡암 탑곡마애불상군 경주 문화탐방차원에서 석탑을 찾아 순례를 떠납니다. 2019년 8월 25일 순례한 것으로 사전답사까지 치면 두 번 다녀왔습니다. 감은사지나 장항리사지는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곳이라 수시로 갔지만 남산 옥룡암 마애불은 처음이기에 감탄과 신비감이 더하네요. 1.옥룡암 탑곡마애불상군 2.장항리 사지 3.감은사지 ▶경주 남산 옥룡암 탑곡마애불상군 경주 옥룡암은 남산을 기준으로 동북쪽 기슭의 탑골塔谷이라 불리는 작은 마을의 골짜기에 자리 잡고 있다. 탑골 마을은 옥룡암이 지어지기 이전인 통일신라시대에 신인사神印寺라는 절이 있었고 당시 삼층 석탑의 영험함 탓에 탑골이라고 불리게 됐다고 한다. 남쪽 산 위로 거대한 바위의 마애불상군이 서 있고 아래로 대웅전, 칠성각 , 요사체등이 자리 잡고 있다. 민족시인 이육사가 폐.. 2022. 12. 12.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8 다음